아무도 모르는 이야기, 나의 가족 이야기
1996년, 문구점 안에서 초등학교 명찰을 달고 있는 여학생 '명은'이 물건들을 들었다 놓았다 이리저리 살펴봅니다.
누군가를 위한 선물을 사는 것인지 포장된 물건 위에 리본을 어느 색으로 붙일지 한참을 고민합니다.
잘 포장된 선물을 들고 집으로 돌아와 편지를 씁니다. 선물과 편지의 주인공은 학교 선생님입니다.
명은은 곧 있을 가정환경면담을 교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진행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편지에 담아봅니다.
하지만 명은의 노력이 무색하게 교실 안에서, 다른 학생들도 들을 수 있는 환경에서 면담은 이루어집니다.
선생님의 질문은 부모님의 직업, 형제 관계 이런 것들입니다.
명은은 아빠는 종이를 만드는 회사에 다니시고 엄마는 평범한 가정주부라고 대답하지만 사실 명은의 부모님은 시장에서 젓갈 장사를 하십니다.
명은은 '비밀우체통을 만들어서 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걸어 반장에 당선됩니다.
반장이 된 이후 부모님의 조력을 받을 수 없는 현실을 잘 아는 명은은 자신의 힘으로 적극적으로 반장생활을 해나갑니다.
선생님의 추천으로 글짓기 대회에 나가게 된 명은은 관련된 책을 읽고 국어사전을 펼쳐놓고 글쓰기에 집중하고 그 결과 우수상을 받습니다.
다음 글짓기 대회에서 서울에서 전학 온 '혜진'이 최우수상을 받습니다.
명은은 솔직하게 글을 쓰면 상을 받았다는 혜진의 말을 듣고 자신의 마음속에 담아두었던 이야기를 써보기 시작합니다.
나만 아는 그 시절 거짓말
가족은 무엇일까요? 저에게 가족은 물음표예요.
세상엔 수많은 가족들의 보기가 넘쳐나는데 우리 가족만 보기에 없는 것 같아요.
이지은 감독은 '명은'이라는 캐릭터의 다양한 감정을 보여주는데 어린 소녀, 학생으로 바라보기보다는 복잡한 내면을 가진 한 인물로 표현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주인공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들도 입체감을 가지고 생명력을 느낄 수 있게 하려고 가능한 이름을 다 붙였다고 합니다.
김애란 선생님, 엄마 경희, 아빠 성호, 오빠 민규처럼 말이죠.
명은은 몸은 작지만 뜨거운 욕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체적으로 자신이 목표한 것을 이루기 위해 방법을 고민하고 노력합니다.
반장선거를 위해서 남다른 공약을 생각해 내고 친구들 앞에서 발표 예행연습도 해봅니다.
한 편의 글짓기를 하기 위해서 책을 여러 권 읽고, '평화'를 주제로 글을 쓰기 위해서는 통일전망대를 방문하기도 합니다.
명은은 어른들이 생각했을 때 크게 엇나가지 않고 바람직하게 글을 쓰다가 혜진의 이야기를 듣고서 혼자만 알고 있던 비밀과도 같은 자신의 진심을 꺼내봅니다.
평소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이고 존경스러워할 만한 어른의 모습과 자신의 부모님의 모습은 전혀 다릅니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불우이웃 돕기에 참여하지도 않고, 분리수거를 하지도 않고 친구를 도와주지도 않습니다.
그런 명은의 가족에 대한 생각이 드러나면서 보이는 가족들은 모습은 각자의 고단함이 묻어있습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노동 환경을 보고 자라는 것이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생각이 담겨있는 것 같았습니다.
명은이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쓴 원고를 다시 받아와서 그것을 없애버리지 않고 땅 속에 묻는 것을 보고 내가 숨기고 싶어 하는 그늘 같은 면을 버리지 않고 나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명은이 글쓰기를 통해서 조금씩 성장해 나가는 것 같았습니다.
새벽부터 일어나 시장에 가서 일하는 명은의 엄마 경희는 딸이 원하는 옷을 사주지도 못하고 반장이 되었다는 명은의 말을 듣고 무르라고 합니다.
그 시절 '반장 엄마'의 역할은 학교에서 일손이 필요하면 앞장서서 돕고 행사가 있으면 간식을 사주기도 합니다.
명은이 반장을 하면 그런 도움을 줄 수 없는 엄마는 딸이 상처받을까 봐 미안한 마음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시간적 여유도 경제적 여유도 없기 때문에 부담도 있었을 겁니다.
그런 엄마가 신문에 실린 명은의 글을 뿌듯한 표정으로 찢어서 보관하는 장면에서 명은이 엄마의 마음을 지켜내서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솔직한 글이 정말 좋은 글일까, 솔직함이 다른 사람들에게 울림을 줄 수도 있지만 진심을 조금은 포장해서 상대방을 헤아리는 마음이 더 중요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명은의 솔직한 글이 그대로 신문에 실렸다면, 게으른 아빠와 창피한 엄마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경희와 성호가 알게 되었다면 그들은 마음에 큰 상처를 받았을 것입니다.
영화 초반에 명은이 포장지에 붙이는 리본을 처음에는 금색으로 골랐다가 다시 되돌아와서 핑크색으로 바꿔달라고 합니다.
왜냐고 묻자 선생님은 핑크색을 좋아하실 것 같아서라고 대답합니다.
사람들이 모두 좋아하는 것을 따르는 것이 중요한지, 아니면 누군가를 떠올렸을 때 그 사람을 위한 선택을 따르는 것이 중요한지 고민해 보게 되었습니다.
어릴 적 나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지금의 나는 그때보다 얼마나 더 성장했는지 스스로에게 묻게 되는 영화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