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전세계약 만료 / 전세보증보험 해지 신청

by mobeemoon 2025. 4. 23.
반응형

전세계약 만료로 인한 전세보증보험 해지 방법

전세 계약이 만료되고 전세보증기간이 끝난 시점이라도 전세보증보험은 자동 해지가 되지 않고 직접 해지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새로 이사한 주소지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려고 하던 중 해지가 필요하다는 안내를 받고 알게 되었습니다.

해지 방법에 대한 문의는 HUG 대표번호인 1566-9009로 AI 상담이 가능하고 답변은 문자로 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해지 신청은 자신이 처음 보증을 신청한 지점이나 비대면 가입채널, 위탁은행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네이버나 은행 등 위탁기관에서 가입한 경우에는 HUG안심전세 앱에서는 변경, 갱신, 해지가 불가합니다.

저의 경우 HUG안심전세 앱을 통해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했기 때문에 해지 신청도 앱으로 진행했습니다.

 

오른쪽 상단 메뉴를 선택하면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변경/갱신/해지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하면 자신이 가입된 전세보증보험의 내용이 나오고 하단에 변경, 갱신, 해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보입니다.

해지를 선택하고 나면 서류 제출로 넘어갑니다.

 

처음 문자로 안내를 받았을 때는 임차인 신분증, 전세보증금 수령 증빙서류 두 가지만 구비서류로 표기가 되어있었지만, 첨부 서류에는 해지증빙서류와 계약종료 및 명도확인서를 서식함에서 다운로드하여서 첨부하도록 안내가 나옵니다.

계약종료 및 명도확인서를 살펴보면 임대인의 서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세계약만료로 다른 주소지로 이사를 한 경우에 받기 어려운 서류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신분증과 전세보증금 수령한 계좌이체내역서를 첨부해서 해지 신청을 했고 다행히 해지 처리가 되었습니다.

전세계약을 중도 해지하는 경우에는 서류 작성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신에게 해당되는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 두고 보증해지신청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