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보험가입을 위한 HUG 영업점 방문
최근에 이사한 뒤,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위해 HUG안심전세 앱에 접속했는데 아파트/오피스텔의 경우 임대인이 법인인 경우에만 신청가능하다고 안내가 되어있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주소지는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에서는 주소 검색이 되지 않아서 주택도시보증공사 영업점에 직접 방문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주소지에 따라 담당하는 영업점이 다르다고 알고 있어서 1566-9009로 전화 문의를 했고, 저는 서울서부지사로 안내를 받았습니다.
영업점 위치와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점심시간 이후 2시쯤 방문했습니다.
대기인원은 많지 않았지만 대기 시간은 30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니 시간 여유를 가지고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임대인과 임차인 접수하는 곳이 다르기 때문에 화살표 따라 해당되는 곳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임차인의 경우 오른쪽에 접수처가 있고 번호표를 뽑고 대기해야 합니다.
대기석에는 서류 보완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pc와 프린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서류의 발급날짜가 한 달이 경과되어 재발급을 해야 했습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위한 필요서류
-신분증
-전세계약서
-중개대상물확인서
-보증금 이체 확인증
-전입세대열람내역(도로명/지번)
-주민등록등본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아파트 제외)
*모든 서류는 신청일 기준 1개월 이내 발급분 제출
주택의 종류나 임대인에 따라서 필요한 서류가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해서 빠진 서류가 없는지, 서류의 발급 날짜는 한 달 이내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보증료 할인 항목도 있으니 자신에게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지 체크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필요한 서류를 다 제출하고 나면,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신청서, 확약서, 위임장 등 6~7장 되는 서류를 작성해야 합니다.
작성해야 하는 부분에 노란색으로 칠해져서 부동산계약서를 참고해서 빠진 부분 없이 작성하면 됩니다.
심사는 신청 접수 이후 2주 정도 소요되며 서류 보완이 필요한 경우 유선 연락을 준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만약 서류 보완 요청 후 2주 이내에 보완되지 않을 경우에는 신청이 취소된다고 합니다.
저처럼 주소지 검색이 안되는 경우에는 번거롭기는하지만 영업점 방문해서 전세보증보험 가입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립미술관 무료 전시 - 강명희 'Visit' (0) | 2025.04.24 |
---|---|
전세계약 만료 / 전세보증보험 해지 신청 (0) | 2025.04.23 |